지구・ 생명 201

8000km/s로 초대질량 블랙홀을 돌고 있는 새로운 별

우리 은하의 중심에서 새로운 별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별은 지금까지 발견된 별들 중에서 블랙홀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있었죠. 또한 이 별은 빛의 속도의 최대 2.6%로 아주 빠르게 이동하고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별의 발견으로 현재 당혹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발견된 별의 이름은 S4716 입니다. (은하 중심에 있는 궁수자리 A* 블랙홀을 돌고 있는 S 성단에 속해 있는 별) 질량은 태양의 약 4배이며, 밝기는 태양의 130배에 이르는 아주 거대한 별이죠. S4716은 궁수자리 A* 블랙홀을 4년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사실 블랙홀 주변에 존재하는 별들은 관찰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운데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곳이 우리에게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 별들이 존재하고 있는..

지구・ 생명 2022.07.15

제임스 웹이 촬영한 사진이 모두 공개되었습니다.(상세 설명)

1. SMACS 0723 일단 어제 공개된 사진을 간단히 살펴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 사진은 우리에게서 약 45억 광년 떨어진 SMACS 0723이라는 은하단을 촬영한 사진입니다. 이 은하단은 너무 거대해서 질량을 추정하기가 상당히 어려운데요. 과학자들은 대략적으로 태양 질량의 약 839조 배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진을 보면 가장 먼저 스파이크의 형태로 빛나는 천체들이 눈에 띠게 됩니다. 이는 제임스 웹의 물리적인 구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모두 항성을 의미합니다. 또한 사진의 중앙에는 뿌옇게 확산되어 나오고 있는 빛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은하단 중심에 있는 별들과 먼지에 의해 나오고 있는 빛으로, 제임스 웹도 어쩔 수 없었습니다. 또한 사진에서 곡선으로 휘어져 있는 빛과 또 일부 반복되..

지구・ 생명 2022.07.13

대기권에서 남극보다 7배나 더 거대한 구멍이 발견되었다.

※ 본 내용은 유튜브 채널 '책밖과학'에서 제공하며, 타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에서의 사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얼마전 오존층에서 새로운 구멍이 포착되었습니다. 이 구멍은 무려 남극 대륙보다 7배나 더 거대한 크기를 가지고 있었죠. 하지만 더 놀라운 점은, 이 오존 구멍이 1980년 대부터 계속 존재해 왔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 거대한 구멍은 왜 이제서야 발견이 된걸까요? 그리고 이 구멍은 그동안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을까요? 지상에서 약 25 ~ 30km 지점에는 오존으로 구성된 층이 있습니다. 이 오존층은 태양의 강한 자외선으로 부터 지표면을 보호해 주는 아주 고마운 역할을 해주고 있죠. 그 덕분에 우리를 비롯한 많은 생명들이 지구에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오존층은 문명의 발전과 함..

지구・ 생명 2022.07.09

문어의 뇌에서 인간의 지능 유전자가 발견되었다.

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지능이 높은 동물은 무엇일까요? 바로 문어입니다. 같은 무척추동물인 거미나 달팽이, 해파리 따위 등은 사실 상대조차 되지 않죠. 문어는 거의 포유류에 버금가는 수준의 지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문어의 뇌에는 개와 비슷한 약 5억 5천만 개의 뉴런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문어는 어떻게 이렇게 복잡한 뇌를 가질 수 있게 되었던 걸까요? 최근 과학자들은 문어의 뇌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특정 유전자를 발견했습니다. 인간의 게놈에는 점핑 유전자(트랜스포존,transposon)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무려 인간 게놈의 45%가 이 유전자로 이루어져 있죠. 이 유전자는 이름 그대로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는 유전자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 유전자의 대부분은 현재 휴면 상태를 유지하고 있..

지구・ 생명 2022.07.05

지구의 대기 완전히 새로운 "고반응성 화학물질"이 발견되었다!

대기 중에서 새로운 유형의 화학 물질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물질은 반응성이 극도로 높아서,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데요. 어쩌면 이 물질은 지구의 기후를 비롯해 우리의 건강에도 안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화학 물질의 이름은 삼산화수소입니다. 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극도로 높아서 아주 불안정한 형태의 화학 물질인데요. 대기 중에서 이 화학 물질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참고로 삼산화수소는 물처럼 수소와 산소로만 이루어져 있는 물질입니다. 다만 삼산화수소와 물의 차이점은, 수소와 산소의 개수가 약간 다르다는 거죠.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물의 경우는 2개의 수소와 1개의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산소를 하나 더 추가하면 과산화수소가 만들어지..

지구・ 생명 2022.06.05

8억3천 만 년 전의 미생물이 발견되었습니다. 살아있을 수 있습니다.

※ 본 내용은 유튜브 채널 '책밖과학'에서 제공하며, 타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에서의 사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얼마전 과학자들은 아주 오래된 소금 결정을 발견했습니다. 이 결정 안에는 놀랍게도 원핵 생물과 조류의 잔해들이 들어 있었는데요. 조사 결과 이 결정은 약 8억 3천 만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이 미생물들은 여전히 살아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다에서 만들어지는 소금 결정은 아주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결정이 만들어질 당시의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그 안에 들어있죠. 예를 들면, 바다의 수온이나, 성분 그리고 대기의 온도까지 정말 많은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결정일 수록 그 정보의 가치는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소금 결..

지구・ 생명 2022.05.18

버섯은 인간의 언어와 비슷한 단어와 문장으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 본 내용은 유튜브 채널 '책밖과학'에서 제공하며, 타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에서의 사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언어는 인간과 동물을 구분짓는 가장 커다란 특징 중 하나입니다. 물론 돌고래들처럼 서로 소통하는 동물도 있기는 있습니다. 하지만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의 언어는 유일하게 인간만이 가지고 있죠.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이 세상에서 언어를 구사하는 생명은 정말로 인간만이 유일한 걸까요? 인간의 뇌는 수많은 뉴런으로 연결된 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망을 타고 흐르는 전류의 패턴에 의해 우리는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죠. 또한 이 신경망의 화학적 변화를 통해서 우리는 기억이나 학습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뉴런과 같은 신경세포가 없어도 기억이나 학습을 할 수 있는 생명이 있습..

지구・ 생명 2022.04.12

2021년 심해에서 발견된 7마리의 괴상한 생물들

※ 본 내용은 유튜브 채널 '책밖과학'에서 제공하며, 타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에서의 사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작년 한해에도 각 분야에서 흥미로운 발견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 중에서도 심해에서 발견된 아주 특이한 생물들을 소개해 드릴건데요. 과연 2021년에는 어떠한 심해 생명체들이 발견되었을까요? 1. 핏빛 해파리 작년 8월, 완전히 새로운 종의 해파리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해파리는 수심 700미터 지점에서 아주 붉은 핏빛을 발하고 있었는데요. 과학자들은 이 붉은 해파리가 포랄리아(Poralia) 속에 속하는 해파리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해파리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역시 아주 진한 핏빛의 붉은 색상일 겁니다. 이 해파리가 이렇게 붉은 색으로 진화된 이유는, 포식자..

지구・ 생명 2022.01.04

생존력이 0이라서 맨날 죽는 동물 5

※ 본 내용은 유튜브 채널 '책밖과학'에서 제공하며, 타 블로그 및 유튜브 채널에서의 사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생명은 진화를 통해 다양한 생존 본능을 발전시켜왔습니다. 바퀴벌레는 머리가 잘려도 열흘을 더 살고 있고, 완보 동물은 거의 모든 환경을 버텨낼 수 있죠. 이 정도의 극한 생존력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동물들은 자신만의 생존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반대로 생존 본능이 퇴화되거나, 진화과정에서 이상하게 변해벼린 동물도 있습니다. 얼핏 보면 멍청해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 그들의 입장에서 보면 아주 힘겨울 수 있을 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생존력이 0에 가까운 안타까운 동물 5마리를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5. 바비루사 동물의 엄니에는 다양한 목적이 있습니다. 적을 위협하거나 먹이를 찌르거나..

지구・ 생명 2021.12.12

지구의 물은 태양 때문에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구는 태양계에서 가장 많은 물을 가지고 있는 행성입니다. 그래서 우리를 비롯한 수 많은 생명들이 지구에서 탄생할 수 있었던 거죠. 그런데 이렇게 생명에게 중요한 물은 도대체 어떻게 생겨나게 된걸까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물을 가지고 있던 소행성의 충돌을 주 원인으로 생각해 왔었습니다. 하지만 소행성만으로 지구의 존재하는 막대한 양의 물을 설명하기에는 뭔가 부족합니다. 어쩌면 지구의 물은,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무언가가 만들어냈을지도 모릅니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물의 근원에 대해서 고민해 왔습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소행성에 의해서 물이 지구로 운반되었을 것이라고 결론내렸죠. 하지만 기존의 소행성 가설은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초창기의 지구에는 ..

지구・ 생명 2021.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