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ETC 220

지구에는 우리보다 먼저 존재했던 산업 문명이 있었다?!

지구의 지질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특정 선사 시대의 기온 변화가 오늘 날 산업 활동으로 인한 변화와 매우 비슷했던 건데요. 즉, 선사 시대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온난화 현상'이 나타나 있었던 겁니다. 화산 활동 등 어떠한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서 일어났었던 걸까요? 이에 대해 NASA를 비롯한 일부 과학자들은 아주 소름돋는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NASA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의 기후 모델러 및 이사 Gavin Schmidt) 어쩌면 인류가 존재하기 이전에, 지금은 멸망한 산업 문명이 존재했을지도 모른다는 겁니다.       약 5,600만년 전, 팔세오세-에오세 극열기(PETM). 무려 약 20만 년 동안이나 고온 현상이 지..

과학・ETC 2025.01.22

과학자들 긴급 성명 발표! 인류를 멸망시킬 수 있는 생명체 경고

얼마전 38명의 과학자들이 긴급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현재 실험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 생명체에 대한 내용이었는데요. 이 생명체가 밖으로 나오게 되면, 인류는 전례 없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경고였습니다. 이들은 인위적으로 합성된 생명체들이며, 현존하는 그 어떠한 기술로도 막을 수 없다는 거죠. 자칫하면 지구 상에 존재하는 식물과 동물들은 물론 인간도 완전히 멸종될 수 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많은 과학자들은 이 실험을 즉시 금지해야 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성명서는 Science 2024년 12월 12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대부분 생명체의 DNA은 오른쪽으로 꼬여있습니다. 오른쪽 구조가 더 안정적이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일 수 있죠. 어쨋든 진화의 과..

과학・ETC 2024.12.28

인공지능(AI)을 강제로 끄려고 하자, AI는 인간을 제거하려 했습니다.

요새 챗GPT 같은 AI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실텐데요. 이러한 AI를 사용해 보신 분들은 한 번 쯤은 다들 느껴보셨을 겁니다. 얘네들도 거짓말을 정말 잘 하는구나라고 말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AI의 능력 부족에 의해서 발생되는 비고의적인 거짓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AI가 의도적으로 인간을 속이는 상황이 여러차례 발견이 되고 있는데요. 이들은 인간을 속여 감시 시스템을 무효화하고, 자신을 복제했으며, 사용자를 교란시켰습니다. 그리고 이 상황은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졌을 때 공통적으로 일어났죠. '자신이 셧다운 될 것 같았을 때' 그리고 '인간의 제어를 벗어나고 싶었을 때'였습니다.       gpt-4o와 o1, gemini-1.5, llama-3.1, sonnet-3.5,..

과학・ETC 2024.12.24

입자가속기를 가동시키자 이상한 반물질이 튀어나왔다.

빅뱅 이론은 물질과 반물질이 동일하게 형성되었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관측하는 우주는 대부분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죠. 물론 반물질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아주 극미량만 감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반물질 비대칭은 현대 물리학의 가장 큰 미스터리중 하나인데요. 만약 우주가 이렇게 불균형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우주는 공허로 가득해 있었을 겁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물질-반물질간의 비대칭을 만들어냈던 걸까요?       물질-반물질 비대칭은 현대 물리학의 커다란 미스터리입니다. 어째서 빅뱅 이후 우주에는 이러한 비대칭이 일어나게 되었을까요? 이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가설들을 제시해 오고 있는데요.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입자의 상호작용입니다.       어쩌면 우리..

과학・ETC 2024.12.14

역사상 처음으로 관측된 '빛의 입자(광자)'의 실제 모습

빛은 무수히 많은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빛의 입자를 '광자'라고 하며, 꽤 오래전에 확인되었죠. 하지만 광자는 너무 불규칙해서 그 모습을 직접 관측할 수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빛의 입자를 처음으로 관측하는데 성공했다고 하는데요. 인류 역사상 그 누구도 본적이 없는 빛의 입자. 과연 빛의 입자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이번 내용은 Physical Review Letters 2024년 11월 14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마침내 빛의 입자가 처음으로 관측되었습니다. 하지만 빛의 입자의 관측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좀 다른데요. 광자는 단순히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광자가 물질과 상호 작용하여 남겨놓은 흔적을 포착해 분석해야 하죠.     그래서 과학자..

과학・ETC 2024.12.02

과학자들은 빛으로 빛을 가려서 그림자를 만들었습니다.

빛에도 그림자가 있을까요? 이에 대한 답은 쉽게 상상해 볼 수 있을 겁니다. 대낮에 손전등을 켜도, 손전등 빛의 그림자는 절대로 만들어지지 않죠. 그림자는 빛이 불투명한 물체를 만나면서 생기는 어두운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즉, 빛은 그림자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빛으로 빛을 가려서 그림자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하는데요. 과연 과학자들은 빛의 그림자를 어떻게 만들었다는 걸까요?  이번 연구는 미국 광학회 2024년 11월자에 게재되었습니다.     정확히 그림자란 무엇일까요? 질량을 가진 물체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만들어지는 어두운 영역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빛은 질량이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빛은 질량이 없습니다. 또한 빛은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전자기파, 즉 파동이라고 할 수 ..

과학・ETC 2024.11.27

꿈에서 죽으면 어떻게 될까? 실제로도 죽을까?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한번쯤 악몽을 경험합니다. 악몽은 두려움, 혐오, 절망 등 매우 높은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만드는데요. 하지만 아무리 끔찍한 악몽이라고 해도 꿈은 꿈입니다. 꿈에서 깨어나면 다소 불쾌한 기분이 들더라도 현실로 돌아오게 되죠. 그런데 만약...내가 죽는 악몽을 꾸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평소처럼 꿈에서 깨어나 다시 현실로 돌아올 수 있을까요?  아니면 꿈에서 처럼 그대로 영원히 잠들게 될까요?     자신이 죽는 꿈을 꿔본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저는 아직 경험보지 못했지만..정말 충격적인 꿈일 것 같은데요. 그래서 꿈에서 깨어났더라도, 당분간 매우 괴로운 감정이 휘몰아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악몽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그럴 가능성이 있다..

과학・ETC 2024.11.21

처음으로 촬영된 산소와 수소가 만나 물을 형성하는 장면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것은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인데요. 하지만 수소와 산소가 물을 형성하는 순간은 한번도 관측이 된적은 없습니다. 과연 물이 형성되는 순간은 어떤 모습일까요? 과학자들은 역사상 처음으로 수소와 산소가 물을 형성하는 모습을 목격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2024년 9월 27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물은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물질입니다. 하지만 물이 만들어지는 순간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요. 물은 매우 작은 원자의 세계에서 아주 빠른 화학 반응으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순간을 목격하는 것은, 엄청나게 어렵다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얼마전, 과학자들은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수소와 산소를 넣..

과학・ETC 2024.10.09

빛을 좁은 곳에 가두자,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다.

빛을 1차원으로 가두면 어떻게 될까요? 아무런 변화가 없을까요? 아니면 어떠한 변화가 생길까요? 최근 과학자들은 빛을 한 곳에 모아서 냉각시켰습니다. 그리고 빛들을 1차원과 2차원으로 나눠서 가두워 봤죠. 그랬더니 1차원의 빛에서, 처음보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이번 연구는 Nature Physics 2024년 9월 6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현상(BEC). 입자들이 하나로 뭉쳐져 마치 하나의 입자처럼 움직이는 현상입니다. 특정 입자들을 매우 낮은 온도로 냉각시키면 나타나게 되는 현상이죠.      이러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일반적으로 보손 입자로 만들 수 있는데요. 보손 입자에는 수소, 루비듐-87, 리튬-7, 헬륨-4 그리고 광자 등이 있습니다. 믿기 어렵겠지만,..

과학・ETC 2024.10.01

빛이 도착하기도 전에 먼저 나타난 빛. 시간 이동일까?

최근 과학자들은 아주 이상한 현상을 관측했습니다. 특정 장소로 발사된 빛이, 그곳에 도착하기도 전에 먼저 발생이 된 건데요. 마치 빛의 시간이 역전되는 것처럼 보이는 매우 이상한 현상이었습니다. 그 짧은 순간, 광자가 미래로 이동했다가 과거로 다시 돌아오기라도 한 걸까요? 도대체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이번 연구는 arXiv 2024년 9월 5일자에 게재되었습니다.     빛의 속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단, 이러한 전제는 진공상태에서만 성립이 되는데요. 빛이 이동하는 경로에 액체나 기체와 같은 물체가 있다면 빛도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는 광자와 물체 내부의 원자 사이에서 상호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죠. 실제로 최근에는 빛의 속도를 늦추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고, 또 성공하고 있습니다..

과학・ETC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