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학자들은 우리 태양계이 주변에서 이상한 빛을 발견했습니다.
지금가지의 천문학 이론을 모두 대입해도 도저히 설명되지 않는 정체 불명의 빛이었는데요.
과학자들은 허블이 촬영한 20만장 이상의 이미지를 분석해서 이 빛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빛은 마치 흐릿한 유령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었지만, 별빛이나 태양 빛이 만들어내는 빛은이 아니었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결국 이 빛의 정체를 밝혀내는데는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현재 과학자들은 이 빛을 가리켜 "고스트 라이트"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SKYSURF"라는 국제 프로젝트를 통해 20만 장의 우주 사진이 분석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이미지에서 행성, 항성, 황도광 등 모든 광원들을 제거해봤는데요.,
그런데도 여전히 설명되지 않는 빛이 계속 남아 있었습니다.
이 빛은 하늘 전체에서 반딧불 약 10마리 정도의 밝기 수준으로 빛나고 있었습니다.
아주 미약한 빛이라고 할 수 있었지만, 정말 이상한 일이 아닐 수 없었죠.
우주의 모든 빛을 제거해도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 빛이 있다니...
예를 들어, 방안의 불을 모두 껏는데도 천장에 흐릿하게 빛나는 부분이 있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빛의 밝기를 떠나서 이건 정말 일어날 수가 없는...아주 이상한 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런데 이렇게 말도 안되는 일이 우주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었던 겁니다.
과연 이 빛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천문학자들은 우주에서 무엇을 놓치고 있었던 걸까요?
일단 과학자들은 이 빛이 태양계의 주위에서 발생되고 있다는 사실까지는 알아냈습니다.
하지만 어디서 무엇이 만들어내고 있는지는 알아낼 수는 없었죠.
다만 과학자들은 이에 대해 몇 가지 가설을 제시했습니다.
첫 번째 가설은, 태양계에 존재하는 먼지들이 이러한 빛을 만들어내고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혜성에서 분출된 먼지가 태양계 내에서 원형의 먼지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을 수 있죠.
그리고 이 구조가 태양의 빛을 반사해서 희미한 빛을 만들어내고 있었다는 겁니다.
만약 이 가설이 맞다면, 태양계에는 과학자들이 모르고 있는 먼지 구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NASA의 뉴 호라이즌 탐사선도 태양계의 외곽에서 정체 불명의 빛을 발견하기도 했었는데요.
뉴 호라이즌이 관측한 빛은 태양에서 약 64억 ~ 80억km 거리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만약 허블과 뉴 호라이즌이 관측한 빛이 동일한 것이라면, 이 빛은 생각보다 넓게 분포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두 빛이 동일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 빛인지의 여부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의 천문학자 팀 칼튼은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우리가 측정한 희미한 빛은 뉴 호라이즌이 관측한 빛보다 높은 값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빛은 태양계의 외곽에서 온 것이 아니라 더 가까운 곳에서 왔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금까지 제대로 측정된 적이 없는 태양계의 새로운 구성 요소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애리조나 주립 대학의 천문학자 로저 윈드호스트는 "허블이 관측한 빛의 95% 이상이 지구에서 48억km 내에 있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이 빛의 정체에 대해서 크게 관심을 갖지는 않고 있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우주의 별이나 은하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연 천체들이 내뿜고 있는 빛을 모두 제거해도 남아 있는 이 희미한 빛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리고 뉴 호라이즌이 관측한 태양계 외곽에 존재하는 빛은 또 무엇일까요?
우주의 미스터리는 이렇게 깊어져만 갑니다.
2022.11.05 - [자연・우주] - 1.5km 크기의 거대한 소행성이 갑자기 발견되었니다. 아무도 몰랐습니다.
1.5km 크기의 거대한 소행성이 갑자기 발견되었니다. 아무도 몰랐습니다.
최근 지구 근처에서 아주 거대한 소행성이 발견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이 소행성은 지구와 금성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었는데요. 하지만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이 소행성의 존재를 전혀 모르고
livelive.tistory.com
2022.10.30 - [자연・우주] - 화성에서 발견된 깊고 거대한 구덩이 그리고 얼음 덩어리들
화성에서 발견된 깊고 거대한 구덩이 그리고 얼음 덩어리들
화성에서 약 150미터 크기의 충돌구가 발견되었습니다. 화성 탐사가 시작된 이후 형성된 충돌구 중에서 가장 거대한 크기였죠. 그리고 충돌구 주변에는 바위만한 얼음 덩어리들이 잔뜩 널부러져
livelive.tistory.com
제임스 웹이 깊은 우주에서 물음표 모양의 천체를 발견했다. (0) | 2023.08.25 |
---|---|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별, 케플러-452b (0) | 2023.08.24 |
1.5km 크기의 거대한 소행성이 갑자기 발견되었니다. 아무도 몰랐습니다. (0) | 2022.11.05 |
화성에서 발견된 깊고 거대한 구덩이 그리고 얼음 덩어리들 (1) | 2022.10.30 |
달의 내부는 정말로 텅 비어있을까? (0) | 2022.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