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우주

우주에 남아있을 수 있는 외계인의 흔적 4가지

신비과학 2022. 6. 30. 10:00

 

 

 

우주에서 외계 문명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가장 확실한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외계 문명이 남겨놓은 기술의 흔적을 찾는 겁니다.

 

예를 들면, 그들의 탐사선이나, 거대한 구조물나 어떠한 화학 물질 등이 있겠죠.

 

만약 정말로 외계의 문명이 존재한다면, 어딘가에 그 흔적이 남아 있을 겁니다.

 

 

 

1. 거대 구조물

 

 

 

 

인류의 에너지 수요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외계 문명 역시도 늘 우리와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일부 진보된 문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성을 이용하기로 했죠.

 

결국 이들은 거대한 장치를 만들어서 항성 전체를 완전히 둘러싸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거의 무한에 가까운 항성의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만약 이러한 문명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그 흔적이 우주 어딘가에 남아있을 지도 모릅니다.

 

예를 들면, 항성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물에서 열복사나 적외선 등이 방출될 수 있죠.

 

또한 구조물의 틈에서 새어나오는 불규칙한 형태의 항성의 빛을 탐지할 수도 있습니다.

 

사실 과학자들은 이와 비슷한 특징을 갖고 있는 천체들을 여럿 발견해 왔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천체가 바로 KIC 8462852, 일명 태비의 별이라는 항성인데요.

 

물론 이 항성의 불규칙성은, 아쉽게도 먼지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주에는 설명할 수 없는 불규칙한 특성을 가진 항성들이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2. 화학 물질

 

 

 

 

외계 문명이 존재한다면, 그들도 우리처럼 다양한 화학 물질을 만들어냈을 겁니다.

 

그리고 이러한 화학 물질들은 그들이 살고있는 행성의 대기에 남아 있을 수 있죠.

 

그래서 외계 행성의 대기 성분을 잘 분석하면, 그들의 존재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행히 우리는 외계 행성이 중심별을 가리며 지나갈 때 나오는 빛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중심별의 빛이 외계 행성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화학 물질 따라 특정 파장을 띨 수 있는데요.

 

이러한 빛을 분석하면, 외계 행성의 대기가 어떠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외계 행성의 대기에서 사불화메테인(tetrafluoromethane)과 삼염화불화탄소(trichlorofluoromethane)가 발견되면, 외계 문명의 존재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두 화학 물질은 탐지하기 가장 쉬운 형태의 프레온 가스(chlorofluorocarbon)라고 할 수 있는데요.

 

프레온 가스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질 수 없기 때문에, 문명의 강력한 흔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어쩌면 제임스 웹 망원경이라면 이러한 흔적을 찾아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3. 빛의 돛

 

 

 

 

사실 성간을 이동하려면 상당히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물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진보된 문명이라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겠죠.

 

하지만 우리보다 적당히 앞서 있는 문명이라면 분명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인류의 경우는 빛을 동력으로 하는 빛의 돛(라이트 세일)이라는 아이디어를 만들어 냈는데요.

 

3.6km 크기의 이 돛은, 이론적으로 65GW의 레이저를 이용해 빛의 속도의 11%까지 가속할 수 있습니다.

 

이 속도라면 가장 가까운 알파 센타우리까지 약 40년 정도면 도착할 수 있죠.

 

또한 과학자들 100GW의 레이저로 빛의 20%까지 가속할 수 있는 이론을 만들고 있습니다.

 

어쩌면 일부 외계 문명은 이와 비슷한 기술을 이미 완성해서 이용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들이 사용하는 강력한 레이저 빛을 우주에서 포착할 수 있을 겁니다.

 

 

4. 웜홀

 

 

 

 

하지만 우리보다 훨씬 더 진보된 문명은 이렇게 원시적인 방법을 쓰지 않을 겁니다.

 

그들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웜홀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죠.

 

하지만 우리의 이론상으로 웜홀은 상당히 불안정합니다.

 

웜홀의 각 입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중력을 비롯해서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

 

그래서 만약 외계 문명이 웜홀을 이용하고 있다면, 우리는 웜홀의 강력한 중력을 탐지할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웜홀의 중력은 멀리 있는 천체들을 확대시키는 현상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을 가리켜, 마이크로렌즈 현상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렌즈 현상은 블랙홀 등의 무거운 천체들이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웜홀의 마이크로 렌즈는 이들과는 확연히 다른 패턴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를 집중적으로 찾아본다면 언젠가는 웜홀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2022.06.27 - [과학・ETC] - 우리의 얼굴 위에서 짝짓기하고 똥을싸는 기생충

 

우리의 얼굴 위에서 짝짓기하고 똥을싸는 기생충

사람의 얼굴에서 살아가는 기생충이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사람의 얼굴에서 평생을 살아가죠. 또한 살아있는 동안 짝짓기도 하고 새끼도 낳고 또 똥도 쌉니다. 혹

livelive.tistory.com

2022.06.25 - [자연・우주] - 1초에 지구 1개를 먹어치우는 미친 블랙홀이 발견되었다!

 

1초에 지구 1개를 먹어치우는 미친 블랙홀이 발견되었다!

깊은 우주에서 새로운 초대질량 블랙홀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블랙홀은 매초 지구 질량에 달하는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우리 은하보다 무려 7000배나 더 밝은 빛(퀘이사)을

livelive.tistory.com

2022.06.21 - [자연・우주] - 과학자들이 대답할 수 없는 아주 어려운 우주 질문 5

 

과학자들이 대답할 수 없는 아주 어려운 우주 질문 5

우주는 여전히 수 많은 비밀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오랜 시간 수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과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그 만큼 우주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매우 방대합니다. 어

liveliv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