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 우주에서 새로운 초대질량 블랙홀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블랙홀은 매초 지구 질량에 달하는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었는데요.
그 과정에서 우리 은하보다 무려 7000배나 더 밝은 빛(퀘이사)을 뿜어내고 있었습니다.
무려 개인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무척이나 밝은 빛이었죠.
이 블랙홀은 지금까지 발견된 블랙홀 중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블랙홀이었습니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블랙홀의 이름은 SMSS J114447.77-430859.3입니다.(이하 J1144)
무려 태양의 약 26억 배의 질량을 갖고 있는 엄청나게 거대한 블랙홀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블랙홀의 질량은 지금도 아주 빠르게 증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은하보다 7000배나 더 밝은 빛을 계속 뿜어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거대하고 밝은 빛을 뿜어내는 블랙홀이 왜 이제서야 발견이 된 걸까요?
사실 이 블랙홀은 아주 오래전 부터 항상 같은 자리에서 빛나고 있었습니다.
실제로 1900년대 초반에 촬영된 사진에서도 이 블랙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죠.
다만 그동안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을 뿐입니다.
이 블랙홀은 정말 우연하게도 그동안의 탐사 범위에서 항상 벗어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이 블랙홀이 발견될 수 있었던 것 역시도 그냥 우연이었는데요.
.
과학자들은 퀘이사를 탐사하는 과정에서 이 블랙홀을 우연히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발견 당시 J1144는 우리 은하 중심의 블랙홀(sgr A*)보다 500배나 더 거대한 상태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1144는 그 어떠한 블랙홀들보다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죠.
그런데 이러한 특성은 과학자들의 입장에서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블랙홀의 크기와 성장의 속도는 비례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즉, 블랙홀의 크기가 거대해질 수록 성장 속도는 반대로 점점 느려진다는 겁니다.
가장 큰 이유는, 초대질량 블랙홀에게 질량을 제공해주던 물질들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블랙홀이 아무리 크고 질량이 높다고 해도, 우주의 모든 물질을 먹어치울 수는 없습니다.
블랙홀의 주변에 있는 물질들만 빨아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의 양은 한정되어 있죠.
그런데 J1144 블랙홀은 어찌된 일인지 여전히 아주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이 블랙홀은 매초 지구 질량의 물질을 빨아들이며, 주변에 거대한 물질의 고리를 만들어내고 있었는데요.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물질들은 서로 부딪히며 아주 밝은 빛을 우주로 뿜어내고 있었습니다.
이 빛은 매우 밝아서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개인 망원경으로 관측을 할 수 있을 정도였죠.
현재 과학자들은 이 블랙홀의 빠른 성장 이유에 대해서 전혀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한가지 확실한 것은 이 블랙홀은 우주의 극초기에 탄생되었다는 겁니다.
그리고 어떠한 거대한 우주적 사건을 통해 대량의 물질을 공급받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두 은하의 충돌이 이 블랙홀에게 엄청난 양의 물질을 공급해 줬을지도 모릅니다.
또는 블랙홀 주변에서 어떠한 특별한 환경이 형성되었거나, 아니면 이 블랙홀 자체의 특성일지도 모르죠.
암튼, 이 블랙홀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와 비슷한 블랙홀이 추가로 발견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특이한 블랙홀을 또 찾아낼 가능성은 그렇게 높아 보이지는 않는데요.
이러한 블랙홀이 숨어 있을 만한 밤하늘의 영역이 이제 더 이상 남아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블랙홀의 미스터리를 밝혀내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1초에 지구 1개의 질량을 빨아들입니다. 그리고 태양은 지구의 33만배의 질량을 갖고 있죠.
즉, 이 블랙홀은 약 4일 정도면 태양 만큼의 질량이 더 늘어나게 된다는 겁니다.
이미 태양의 26억배로 성장한 J1144. 과연 이 블랙홀은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까요?
2022.06.21 - [자연・우주] - 과학자들이 대답할 수 없는 아주 어려운 우주 질문 5
과학자들이 대답할 수 없는 아주 어려운 우주 질문 5
우주는 여전히 수 많은 비밀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오랜 시간 수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과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그 만큼 우주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매우 방대합니다. 어
livelive.tistory.com
2022.06.17 - [과학・ETC] - 구글의 엔지니어는 AI에 지각이 있다고 폭로합니다.
구글의 엔지니어는 AI에 지각이 있다고 폭로합니다.
얼마전 한 구글 직원의 놀라운 폭로가 있었습니다. 구글에서 개발 중인 AI(이하 인공지능)가 스스로 지각을 갖게 되었다는 내용이었는데요. 인공지능과의 대화 내용을 대중에 공개한 이 직원은
livelive.tistory.com
2022.06.14 - [과학・ETC] - 결국 NASA가 UFO를 직접 연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결국 NASA가 UFO를 직접 연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최근 미국 국방부는 미확인 비행 물체의 존재를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공식 명칭을 미확인 공중 현상(이하 UAP)으로 변경했죠. 또한 그동안 기밀로 취급되었던 UAP의 영상이 공개되기도
livelive.tistory.com
NASA의 탐사선을 빨아들인 거대한 소행성 (1) | 2022.07.11 |
---|---|
우주에 남아있을 수 있는 외계인의 흔적 4가지 (5) | 2022.06.30 |
과학자들이 대답할 수 없는 아주 어려운 우주 질문 5 (0) | 2022.06.21 |
과학자들은 이상한 신호를 방출하는 천체를 발견했습니다. (0) | 2022.06.03 |
오래된 외계 신호의 발신지가 드디어 발견되었다. (1)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