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은하에는 규칙적으로 감마선을 뿜어내는 지역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곳에 마이크로 퀘이사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요.
이상한 점은, 이 퀘이사에서 100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가스 구름이 이 퀘이사와 완벽하게 동기화되어 있다는 겁니다.
무려 100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두 천체는 도대체 어떠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걸까요?
아직 과학자들도 혼란스러워 하고 있습니다.
이 퀘이사는 지구에서 1,5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SS 433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주에서 흔치 않은 마이크로 퀘이사라고 할 수 있죠.
그리고 이 퀘이사의 중심에는 태양 질량의 10배 ~ 20배 해당하는 블랙홀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 블랙홀은 태양 질량 30배에 달하는 거대한 별의 주위를 돌며 대량으로 물질을 빨아들이고 있는데요.
(이 둘은 쌍성으로 서로를 돌고 있습니다.)
빨아들인 대부분의 물질들은 블랙홀의 안쪽으로 빨려들어가고, 나머지 물질들은 주변에 축적되어 소용돌이 모양의 강착 원반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블랙홀의 회전 축을 기준으로 위쪽과 아래쪽을 향해 강렬한 제트를 방출하고 있죠.
이때 제트는 초고속으로 이동하는 다양한 입자들과 강력한 자기장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X선과 감마선을 규칙적으로 방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정확히 162.25일을 주기로, 이 블랙홀은 마치 비스듬히 흔들거리며 돌고 있는 팽이와 같은 모습으로 전환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블랙홀은 위 아래로 방출되던 제트를 나선의 형태로 방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100광년 떨어진 곳에는 Fermi J1913 + 0515라는 가스 구름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이 가스 구름 역시 아주 규칙적으로 감마선을 방출하고 있죠.
그런데 정말 이상한 점은, 가스 구름의 감마선 방출 주기가 SS 443의 감마선 방출 주기와 완벽하게 일치하고 있다는 겁니다.
블랙홀이 별의 물질을 빨아들이는 주기에 맞춰 아주 규칙적으로 감마선을 방출하고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두 천체의 거리는 무려 100광년 입니다.
과학자들은 어쨋든 이러한 현상이 SS 433 블랙홀에서 동력을 공급받아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는데요.
그런데 문제는 블랙홀에서 나오는 제트가 이 가스 구름 방향으로 전혀 방출되고 있지 않다는 겁니다.
과학자들은 너무 혼란스러웠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처음 봤고, 전혀 예상하지도 못했던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무엇이 100광년이나 멀리 떨어져 있는 이 가스 구름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는 걸까요?
결국 과학자들은 블랙홀의 제트나 강착 원반에서 나온 아원자 입자들이 가스 구름과 상호 작용하여 아주 규칙적인 감마선 방출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만들어냈습니다.
이 두 천체는 자기 튜브(magnetic tube)와 같은 것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통로를 통해 아원자 입자들이 이동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거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러한 현상들이 현대 과학의 이해를 넘어서기 때문에 아직은 정확히 설명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100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이 두 천체는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걸까요?
그냥 우연인걸까요? 그러기엔 두 천체의 주기가 너무나도 완벽하게 일치합니다.
과학자들의 말대로 아직은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겁니다.
하지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있습니다.
독수리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이 공간은 이제 우리 은하에서 가장 매력적인 장소가 되었다는 겁니다.
2020/08/20 - [자연・우주] - 과학자들을 놀라게 만든 이상한 혜성 5
2020/08/17 - [자연・우주] - 과학자들은 광속의 8% 속도로 이동하는 미친 별을 발견했습니다.
2020/08/07 - [자연・우주] - 초거대 블랙홀을 돌고 있는 지구와 같은 행성들
'자연・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이 녹슬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당황스러워 합니다. (0) | 2020.09.06 |
---|---|
천문학자들이 애타고 찾고 있는 가설의 별 5 (0) | 2020.09.01 |
과학자들이 예측한 우주의 마지막, 흑색 왜성의 폭발 (0) | 2020.08.25 |
고대의 대량 멸종은 이 별의 폭발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0) | 2020.08.22 |
과학자들을 놀라게 만든 이상한 혜성 5 (0) | 202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