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000광년 크기의 거대한 공허가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자연・우주

by 신비과학 2022. 1. 18. 23:00

본문

 

태양계의 주변은 이상할 정도로 텅 비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공허는 무려 1000광년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게 거대하죠.

 

도대체 이 거대한 공허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리고 우리 태양계는 어째서 이 공허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는 걸까요?

 

 

 

 

지구는 현재 1000광년 크기의 공동(Void) 중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공동의 이름은 국부 거품(local bubble) 이라고 하며, 약 50년 전에 처음 발견되었죠.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 거품의 정체가 무엇인지 오랫동안 알아낼 수 없었습니다.

 

 

국부 거품의 가장 큰 특징은, 이곳의 물질의 밀도가 다른 곳에 비해서 매우 낮다는 겁니다.

 

우리 은하의 평균 성간 물질의 밀도는 1cm³당 원자 0.05개 인데요.

 

그런데 이 공동 안의 밀도는 1cm³당 원자 0.005개로 다른 장소에 비해서 무려 10배나 더 낮습니다.

 

국부 거품 내의 성간 물질 밀도가 다른 곳에 비해서 이렇게나 더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 거대한 공동은 약 1400만년 전에 일어난 어떠한 사건때문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이 사건은 지금의 공동뿐만 아니라 태양계 주변의 수 많은 별들도 탄생시켰죠.

 

먼 옛날 수 많은 별들과 거대한 공동을 탄생시킨 사건... 이 사건의 정체는 바로 연쇄 초신성이었습니다.

 

약 1400만년 전, 이곳에 있던 약 15개의 늙이 별이 수 백만년에 걸쳐 연쇄적으로 폭발했습니다.

 

이 연쇄 초신성의 여파로 이곳에 있던 성간 물질들은 모두 외부로 밀려나게 되었죠.

 

연쇄 초신성 폭발

 

그리고 500만 년이 지나자 이 장소에서 서서히 빈 공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공간은 우주 바깥쪽으로 계속 퍼져나가게 되었는데요.

 

그 결과 이 공간은 상당히 거대해져 지금은 1000광년이라는 크기에 달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국부 거품은 지금도 우주의 바깥쪽으로 계속 퍼져나가고 있는 중인데요.

 

가이아 망원경의 실제 관측에 따르면, 그 속도는 무려 초당 6.5km에 이른다고 합니다.

 

물론 과거에 비해서 거품이 퍼져나가는 속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떨어지고 있긴 합니다.

 

아마도 이 거품은 약 800만년 안에 최대 크기에 도달한 뒤 결국 사라지게 될 겁니다.

 

그리고 이 때가 되면 우리 태양계는 이 국부 거품에서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될 겁니다.

 

국소 거품 경계의 분자 구름들

 

한편, 초신성에 의해 밀려난 성간 물질들은 현재 국부 거품의 경계에 모두 몰려 있는데요.

 

이곳에 몰려 있는 성간 물질들은 지금도 새로운 별들을 계속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부 거품의 경계 지점에서 별을 만들어내는 7개의 분자 구름들이 발견되기도 했었죠.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의문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1400만년 전이면 우주의 시간으로 그렇게 오래된 일이 아닌데 당시의 지구는 어땠을까?

 

별 15개에서 일어난 연쇄 초신성 정도면, 분명히 지구도 안전하지는 않았을텐데 말이죠.

 

하지만 아주 다행히도 1400만년 전의 지구는 이 초신성이 일어났던 장소에 없었습니다.

 

지구가 이 장소에 도착하게 된 것은 연쇄 초신성이 일아나고 약 500만 년이 지난 다음이었습니다.

 

따라서 지구는 이 강렬한 연쇄 초신성의 영향을 조금도 받지 않을 수 있었던 겁니다.

 

즉, 우리 태양계는 500만년 후에 이 공동에 진입했고, 지금은 가운데 지점을 지나가고 있는 중입니다.

 

여기에는 별다른 이유가 없습니다. 그냥 모든 것이 우연이었을 뿐입니다.

 

 

이렇게 오래된 우주의 미스터리 하나가 해결되었습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우리 주변의 별들이 처음에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드디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죠.

 

또한 태양계 주변의 성간 물질의 밀도가 낮은 이유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거품들이 은하계에서 비교적 흔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데요.

 

만약 이러한 거품을 더 많이 찾을 수 있다면, 별의 형성을 이해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겁니다.

 

 

2022.01.15 - [자연・우주] - 달에 물이 존재한다는 최초의 현장 증거 발견!

 

달에 물이 존재한다는 최초의 현장 증거 발견!

재작년에(2020년) 과학자들은 달 표면에서 물 분자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실제로 달에 물이 존재하고 있다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증거였죠. 하지만 당시의 발견은 달 표면의 암석 등을 직접 분석

livelive.tistory.com

2022.01.12 - [자연・우주] - 과학자들은 처음으로 별의 폭발을 실시간으로 목격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처음으로 별의 폭발을 실시간으로 목격했습니다.

천문학자들이 아주 오랫동안 우주에서 찾던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초신성이 되기 직전인 거대한 별의 마지막 모습입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동안 우리는 별이 죽고난 후의 흔적들만

livelive.tistory.com

2021.12.19 - [자연・우주] - 역사상 처음으로 탐사선이 태양의 대기에 진입했습니다.

 

역사상 처음으로 탐사선이 태양의 대기에 진입했습니다.

파커 태양 탐사선이 태양의 대기권으로 진입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파커 탐사선은 태양의 대기로 돌입할 때의 그 순간까지 촬영하는데 성공했죠. 인간이 만든 탐사선이 태양의 대기를 통

livelive.tistory.com

 

관련글 더보기